급성기 가와사키병 환자에서 정맥 내 면역글로불린 치료의 초기 저항성의 예측을 위한 scoring system 의 비교

급성기 가와사키병 환자에서 정맥 내 면역글로불린 치료의 초기 저항성의 예측을 위한 scoring system 의 비교

Comparison of Risk-scoring systems for intravenous immunoglobulin resistance of Kawasaki disease

(포스터):
Release Date : 2014. 10. 24(금)
Jae Hoe Koo1, Mi Young Han1, Sung Ho Cha1, Kyung Lim Yoon2, Young Sung Choi1 , Jung Yoon Cho1
Kyunghee University Kyunghee Medical Center Departement of Pediatrics1
Kyunghee University East-West Neo Medical Center Departement of Pediatrics2
구재회1, 한미영1, 차성호1, 윤경림2, 최용성1 , 조정윤1
경희대학교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실1
강동경희대학교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실2

Abstract

목적 : 급성기 가와사키병의 정맥내 면역 글로불린 치료의 초기 저항성을 예측하기 위한 여러가지연구가 있었고, 이에 따른 scoring system이 연구되었으나, 대상 환자들에 따라서, 일관되지 않은 결과를 보여, 국내 가와사키병 환자를 대상으로 정맥내 면역글로불린 치료의 초기 저항성 예측을 위해 현재까지 알려진 scoring system의 유용성을 비교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법 : 2006년 4월부터 2014년 7월까지 경희대학교병원 소아청소년과에 가와사키병으로 입원하여 정맥 내 면역글로불린으로 치료한 228명의 환아를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이 환아들을 2 그룹(초기 저항성군, 초기 반응성군) 으로 나누고, 현재까지 알려진 3가지 scoring system(Kobayashi, Egami, Sano)을 대상환자에게 적용하여 그 유용성을 비교하여 보았다. 결과 : 총 228명의 환아 중, 31명(14%)이 면역글로불린 초기 저항성 그룹에 속하였으며, 197명의 환아(86%)는 면역글로불린 반응성 그룹에 속하였다 초기 면역글로부린 저항성을 예측하는데, Kobayashi scoring system(n=229)에서 불응성 그룹의 점수는 4.8±1.8, 반응성 그룹의 점수는 3.0±1.7 로 각 그룹간의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p0.001), 85%의 민감도와 66.7% 의 특이도를 보였다, Egami scoring system(n=229)에서 불응성 그룹의 점수는 2.4±0.9, 반응성 그룹의 점수는 1.2±0.9로 각 그룹간의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p0.001), 44.4% 의 민감도와 92.5% 의 특이도를 보였다, Sano scoring system(n=123)에서 불응성 그룹의 점수는 1.6±0.6, 반응성 그룹의 점수는 0.7±0.7 으로 각 그룹간의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p0.001), 53.3%의 민감도와 89.8%의 특이도를 보였다. 결론 : 국내 환자들에게 적용한 것으로는 Kobayashi scoring system이 정맥 내 면역글로불린 재치료의 가능성에 대한 비교적 높은 민감도를 보였고, Egami scoring system 과 Sano scoring system은 초기 치료에 대한 반응성에 대해서 북미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와 마찬가지로 비슷한 특이도를 보였다. 이 연구는 후향적 연구로, 앞으로 더 많은 환아들을 대상으로 한 전향적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Keywords: Kawasaki Disease, IV Ig resistance,